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농업경영지도사업
농협은 새로운 소득작목에 대한 신기술 습득과 영농기술 향상을 위해 영농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농산물 출하판에 이르기까지 영농전반에 걸쳐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영농활동을 할 수 있도록 농업경영지도사업을 전개하고 있는데 우선 영농지도 및 부녀ㆍ복지 담당을 두고 조합원에 대한 농영경영지도뿐 아니라, 부녀지도 등 종합적인 영농지도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농협에서는 그간의 농협내실화를 기반으로 그 체계를 갖추고, 농민조합원들이 농업경영기술 정보를 손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도록 각종 교육 및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매분기 1회 우리농협소식지를 발간해 새로운 조합소식 및 영농정보를 보급하고, 또한 주 2회 농민신문보급과 "전원생활" 월간지를 통한 농업경영지도에도 새로운 장을 열었다. 협동조직장, 농업경영인, 작목반원, 조합원을 대상으로 지역특성에 맞는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협사업 등 농업관련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조합원과 부녀회원에 대해서는 우수농장, 독농가등 선진지를 견학토록 하였다. 그리고 농협은 다양한 조합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있는데 부락좌담회, 동계 영농교육, 농업경영기술교육 등이 있고 농협지도자 교육원교육을 통한 농업생산성제고로 농가소득증대를 도모하였다.
1960년대부터 우리나라가 주곡 자급자족이 어려웠던 시절 우리의 지상과제는 쌀 자급이 최고의 목표였다. 농협은 농민조합원이 농산물 생산에 필요로 하는 비료 ㆍ농약ㆍ농기계ㆍ종자ㆍPE필름 등 각종 영농자재를 적기에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해 줌으로써 농민 조합원의 쌀 자급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들어 86아시안게임 및 88서울 올림픽 개최와 더불어 국민 소득이 높아지고 간척지 개발, 환경파괴, 각종 공해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비료와 농약에 대한 식물오염 등 전국민의 의식이 점차 높아져 도시소비자들은 물론 전국적으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우수 농산물을 선호하게 되었다.
농민조합원이 생산하는 농산물의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영농의욕을 자발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농업경영에서도 기업가적인 브랜드 개발이 필요하다. 농협은 농업 경쟁자로서의 자긍심을 심어주고 생산자 자신의 얼굴있는 농산물을 생산 및 홍보 할 수 있도록 「농장이름 갖기 및 농장주 명함갖기운동」을 적극 전개하였다.
농장이름은 지역, 농장 및 특색을 살릴 수 있고 부르기 쉬운 이름으로 작명하도록 농민 조합원에 홍보·지도하였고 새농민 수상자에게 농장간판제작 설치를 무상으로 보급하였다. 농협은 농번기 농촌일손돕기를 자체적으로 계획 및 추진실천하여 농가일손지원을 통한 조합원과 조합원간의 밀착화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영농철 농민조합원들의 영농자제구매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위해 4월 ∼ 10월까지 기간 중 무휴로 영농지원상황실을 운영하여 적기에 영농자재가 지원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였다. 또한 매주 2회 농용자재주문 배달제를 실시하여 농민조합원의 편익 및 시간비용절약으로 농가소득증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농촌지역의 건전한 여가활동과 문화생활을 위한 활동
농협은 새로운 소득작목에 대한 신기술 습득과 영농기술 향상을 위해 영농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농산물 출하판에 이르기까지 영농전반에 걸쳐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영농활동을 할 수 있도록 농업경영지도사업을 전개하고 있는데 우선 영농지도 및 부녀ㆍ복지 담당을 두고 조합원에 대한 농영경영지도뿐 아니라, 부녀지도 등 종합적인 영농지도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농협에서는 그간의 농협내실화를 기반으로 그 체계를 갖추고, 농민조합원들이 농업경영기술 정보를 손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도록 각종 교육 및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매분기 1회 우리농협소식지를 발간해 새로운 조합소식 및 영농정보를 보급하고, 또한 주 2회 농민신문보급과 "전원생활" 월간지를 통한 농업경영지도에도 새로운 장을 열었다. 협동조직장, 농업경영인, 작목반원, 조합원을 대상으로 지역특성에 맞는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협사업 등 농업관련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조합원과 부녀회원에 대해서는 우수농장, 독농가등 선진지를 견학토록 하였다. 그리고 농협은 다양한 조합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있는데 부락좌담회, 동계 영농교육, 농업경영기술교육 등이 있고 농협지도자 교육원교육을 통한 농업생산성제고로 농가소득증대를 도모하였다.
1960년대부터 우리나라가 주곡 자급자족이 어려웠던 시절 우리의 지상과제는 쌀 자급이 최고의 목표였다. 농협은 농민조합원이 농산물 생산에 필요로 하는 비료 ㆍ농약ㆍ농기계ㆍ종자ㆍPE필름 등 각종 영농자재를 적기에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해 줌으로써 농민 조합원의 쌀 자급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들어 86아시안게임 및 88서울 올림픽 개최와 더불어 국민 소득이 높아지고 간척지 개발, 환경파괴, 각종 공해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비료와 농약에 대한 식물오염 등 전국민의 의식이 점차 높아져 도시소비자들은 물론 전국적으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우수 농산물을 선호하게 되었다.
농민조합원이 생산하는 농산물의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영농의욕을 자발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농업경영에서도 기업가적인 브랜드 개발이 필요하다. 농협은 농업 경쟁자로서의 자긍심을 심어주고 생산자 자신의 얼굴있는 농산물을 생산 및 홍보 할 수 있도록 「농장이름 갖기 및 농장주 명함갖기운동」을 적극 전개하였다.
농장이름은 지역, 농장 및 특색을 살릴 수 있고 부르기 쉬운 이름으로 작명하도록 농민 조합원에 홍보·지도하였고 새농민 수상자에게 농장간판제작 설치를 무상으로 보급하였다. 농협은 농번기 농촌일손돕기를 자체적으로 계획 및 추진실천하여 농가일손지원을 통한 조합원과 조합원간의 밀착화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영농철 농민조합원들의 영농자제구매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위해 4월 ∼ 10월까지 기간 중 무휴로 영농지원상황실을 운영하여 적기에 영농자재가 지원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였다. 또한 매주 2회 농용자재주문 배달제를 실시하여 농민조합원의 편익 및 시간비용절약으로 농가소득증대에도 기여하고 있다.
지도사업
농협은 새로운 소득작목에 대한 신기술 습득과 영농기술 향상을 위해 영농계획 수립 단계에서부터 농산물 출하판에 이르기까지 영농전반에 걸쳐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영농활동을 할 수 있도록 농업경영지도사업을 전개하고 있는데 우선 영농지도 및 부녀ㆍ복지 담당을 두고 조합원에 대한 농영경영지도뿐 아니라, 부녀지도 등 종합적인 영농지도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농협에서는 그간의 농협내실화를 기반으로 그 체계를 갖추고, 농민조합원들이 농업경영기술 정보를 손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도록 각종 교육 및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매분기 1회 우리농협소식지를 발간해 새로운 조합소식 및 영농정보를 보급하고, 또한 주 2회 농민신문보급과 "전원생활" 월간지를 통한 농업경영지도에도 새로운 장을 열었다. 협동조직장, 농업경영인, 작목반원, 조합원을 대상으로 지역특성에 맞는 영농기술, 농업경영, 농협사업 등 농업관련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조합원과 부녀회원에 대해서는 우수농장, 독농가등 선진지를 견학토록 하였다. 그리고 농협은 다양한 조합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있는데 부락좌담회, 동계 영농교육, 농업경영기술교육 등이 있고 농협지도자 교육원교육을 통한 농업생산성제고로 농가소득증대를 도모하였다.
1960년대부터 우리나라가 주곡 자급자족이 어려웠던 시절 우리의 지상과제는 쌀 자급이 최고의 목표였다. 농협은 농민조합원이 농산물 생산에 필요로 하는 비료 ㆍ농약ㆍ농기계ㆍ종자ㆍPE필름 등 각종 영농자재를 적기에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해 줌으로써 농민 조합원의 쌀 자급에 크게 기여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들어 86아시안게임 및 88서울 올림픽 개최와 더불어 국민 소득이 높아지고 간척지 개발, 환경파괴, 각종 공해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비료와 농약에 대한 식물오염 등 전국민의 의식이 점차 높아져 도시소비자들은 물론 전국적으로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우수 농산물을 선호하게 되었다.
농민조합원이 생산하는 농산물의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영농의욕을 자발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농업경영에서도 기업가적인 브랜드 개발이 필요하다. 농협은 농업 경쟁자로서의 자긍심을 심어주고 생산자 자신의 얼굴있는 농산물을 생산 및 홍보 할 수 있도록 「농장이름 갖기 및 농장주 명함갖기운동」을 적극 전개하였다.
농장이름은 지역, 농장 및 특색을 살릴 수 있고 부르기 쉬운 이름으로 작명하도록 농민 조합원에 홍보·지도하였고 새농민 수상자에게 농장간판제작 설치를 무상으로 보급하였다. 농협은 농번기 농촌일손돕기를 자체적으로 계획 및 추진실천하여 농가일손지원을 통한 조합원과 조합원간의 밀착화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영농철 농민조합원들의 영농자제구매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위해 4월 ∼ 10월까지 기간 중 무휴로 영농지원상황실을 운영하여 적기에 영농자재가 지원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였다. 또한 매주 2회 농용자재주문 배달제를 실시하여 농민조합원의 편익 및 시간비용절약으로 농가소득증대에도 기여하고 있다.